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2025 국가 장학금 지원 대상 50만명 '확대' - 청년 성장에 적극 지원

by 스하니 데일리픽 2025. 3. 1.

2025년 국가장학금 확대 및 청년 지원 정책 총정리

1. 국가장학금 지원 확대 (9구간 이하로 확대)

2025년부터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이 기존 소득 8구간 이하에서 9구간 이하로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지원 인원이 100만 명에서 150만 명으로 늘어나 더 많은 대학생이 학비 부담을 덜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근로장학금 수혜 대상도 14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증가해, 대학생들이 학업과 병행하며 생활비를 마련할 기회가 더욱 많아질 전망입니다.

2. 우수 기술 인재 육성 및 직업계고 지원 확대

정부는 청년들의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해 우수 직업계고 100개를 육성하고, 협약형 특성화고(10개), 첨단분야 마이스터고(3개)를 추가 지정할 예정입니다.

  • AI·SW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마이스터고 지원
  • 학급당 3억 7,500만 원의 학과 개편 및 시설 구축 지원
  • 지역 고용센터 및 대학일자리센터와 협력해 취업 지원 확대
  • 고졸 채용 확대: 공공기관 고졸 채용 비율 8% → 9%로 상향
  • 군무원 지역인재 채용 신설

특히, 직업계고 졸업생 중 진로 미결정자를 위한 거점학교도 기존 17개교에서 24개교로 확대해 적극적인 취업 지원을 진행합니다.

3. 대학생 주거 및 학자금 지원 확대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저소득층 대학생을 위한 주거안정장학금이 신설됩니다.

  • 기초·차상위 계층 대학생 대상
  • 연 최대 240만 원 지원
  • 지원 예산 344억 3,500만 원 책정
  • 255개 대학이 참여하여 원거리 통학 학생에게 월 최대 20만 원 지급

또한, 기존 학자금 대출 제도도 개편됩니다.

  • 대출 금리 1.7% 유지
  • 생활비 대출 한도 400만 원
  • 재학 기간 동안 상환 유예 가능

이와 함께, 현재 건설 중인 서울(3개소), 인천(1개소) 연합기숙사도 차질 없이 진행해 대학생들에게 저렴한 월세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4. 청년 일자리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

정부는 산학협력 강화를 통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확대합니다.

  • 대학과 중소기업 연계 ‘인재 파이프라인(Talent Pipeline)’ 추진
  • 계약정원·학과 확대 및 대기업-중소기업 연계 지원
  • 현장 맞춤형 교육 확대: 강소기업 전문가가 대학 교육 참여
  • 청년 해외 취업 지원: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특히, 2025년에는 캐나다 주정부와 MOU를 체결해 유아교육 전공자 해외 취업 기회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5. 미래 인재 육성 및 연구 지원

2025년부터 의대 교육 전담 조직인 ‘의대교육지원관’을 운영해 의료 인재 양성을 강화합니다.

또한, 연구 기회 확대를 위해 대학원생 및 박사후연구원 지원을 강화합니다.

  • 인문사회 석사 연구장려금 신설 (100명, 연 1,200만 원 지원)
  • 이공계 석·박사 연구장려금 확대
  • 첨단분야 특성화 대학 지원 (‘반도체·이차전지’ → ‘바이오’까지 확대)

특히, ‘라이즈(RISE)’ 체계를 전국 17개 시도에 적용해 대학-지역 간 협력을 강화하고, 국비 2조 원과 지방비를 투입해 지역 인재 양성 및 취업 연계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결론

2025년부터 국가장학금 확대, 청년 취업 지원, 직업계고 육성, 연구 장려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이 시행됩니다. 정부는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청년들이 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입니다.

📌 더 많은 교육 및 취업 정보를 확인하려면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를 방문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