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은 항상 정책, 금리, 공급에 따라 움직입니다.
특히 6월 대선이 다가오면서 ‘누가 대통령이 되는가’보다, 어떤 부동산 정책이 이어질지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향후 부동산 정책 방향성과 시장 흐름, 그리고 우리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 정부 정책의 본질은 ‘집값 안정’이 아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게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은 ‘집값을 내리려는 것’이 아닙니다.
핵심은 시장이 망가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입니다.
결국 ‘집값을 잡는’ 정책은 없고, 돈의 흐름을 1주택자, 무주택자 쪽으로 돌리려는 목적이 있는 거죠.
🏢 여야 부동산 정책 방향 정리
민주당: 공공주도 공급, 스마트 신도시 개발, 용적률 상향 + 공공임대 확대
국민의힘: 민간주도 공급, 도심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분양가 상한제 폐지 추진
민주당은 외곽 위주의 신도시, 국민의힘은 도심 중심 재건축으로 공급 전략이 다릅니다.
그러나 양당 모두 기존 정책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는 계속된다
1. 대출 제한 강화 – 다주택자 LTV, DSR 제한은 계속 유지될 전망
2. 보유세 강화 – 고가주택 기준이 기존 12억에서 15억, 25억까지 올라갈 수 있음
3. 양도세 및 일시적 2주택 규제 강화 – 실수요 중심으로 정책 전환
결론: 다주택보다는 1주택 또는 일시적 2주택 전략이 유리해질 전망
📈 아파트 가격은 장기적으로 오른다?
3기 신도시도 분양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4기 신도시의 입주 시점은 2030년 전후로 예상됩니다.
즉, 공급은 미래의 이야기일 뿐, 당장 시장에 영향을 줄 수는 없습니다.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은 부족 → 가격은 중장기적으로 상승 가능성이 큽니다.
💡 똘똘한 한 채 전략이 더 중요해지는 이유
1. 규제를 피하고 실수요 중심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2. 고가보다 10억~20억 사이의 중간 단지가 수요 집중 예상
3.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등 서울 동북권에 관심 집중
4. 초정지역 확대 시 풍선효과 발생 가능성 고려
🛑 다주택자라면 이런 상품을 고려해보세요
1. 입주권 – 보유세·종부세 부담이 적음
2. 재개발 초기 지역 – 장기 가치 상승 여지
3. 1+1주택 또는 일시적 2주택 전략 – 정책 허용 범위 활용
🔁 부동산 시장은 흐름을 바꾸는 싸움
지금은 강남·고가 위주의 상승세가 전체로 확산되는 전환점입니다.
정부 정책은 마치 댐처럼 돈의 흐름을 막는 것이 아니라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한쪽(강남 등 고가)을 막으면, 다른 쪽(중저가·외곽 등)으로 흐름이 바뀌게 됩니다.
✍️ 맺음말
어떤 정부가 들어서든, 정책은 시장을 망치지 않는 선에서 조절할 뿐입니다.
우리는 정책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맞춰 빠르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다주택보다 똘똘한 한 채
✅ 공급은 느리다 → 가격은 중장기 상승
✅ 규제는 강화된다 → 실수요 중심 전략으로
이 글이 여러분의 부동산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전기 신청, 꼭 알아야 할 핵심 Q&A 정리!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전기 신청, 꼭 알아야 할 핵심 Q&A 정리! 💡
“내가 장려금 대상일까? 어떻게 신청해야 할까?”혹시 이런 고민, 지금 하고 계신가요? 🤔매년 5월은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시즌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 자동신청 제도가 전면 확대되면서 궁
tmgksl123.tistory.com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부동산 공약 총정리! 공급부터 GTX, 규제까지 한눈에📌 (0) | 2025.05.14 |
---|---|
🧾홈택스 종합소득세 셀프 신고, 어렵지 않아요! (모두채움 납부/환급 대상자라면 필독!) (2) | 2025.05.13 |
종합소득세 셀프 신고, 프리랜서라면 꼭 알아야 할 꿀팁 총정리! 🧾💸 (0) | 2025.05.10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전기 신청, 꼭 알아야 할 핵심 Q&A 정리! 💡 (2) | 2025.05.10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자리서 쫓겨나나? 🚨 (1) | 2025.05.04 |